AI 탐지기는 대학, 출판사, 언론사, 기업, 정부기관 등 사회 전반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학생 과제를 검증하거나 학술 논문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기사나 보고서의 작성 주체를 가려내는 과정에서 이미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으며,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현재 AI 탐지기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기관마다 기준이 제각각이고, 결과에 대한 검증 절차나 이의제기 과정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 일부 기관은 AI 탐지기의 결과를 절대적 근거로 삼아 학생이나 연구자의 성과를 제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권익이 침해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AI 탐지기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제도적 감시 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기술의 오남용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