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탐지기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정식 평가 도구로 도입되면서, 그 부작용 중 하나로 지적되는 부분은 '학술적 창의성의 위축'이다. 창의적인 글쓰기란 단순히 새로운 표현을 쓰는 것을 넘어, 기존 사고방식을 전복하거나, 독특한 논리 구조를 통해 새로운 통찰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런데 AI 탐지기의 작동 원리는 이러한 창의성을 제대로 감지하거나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반복을 통한 강조, 문법적 파격, 감성적 서술은 모두 창의적 글쓰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지만, 감지기 알고리즘은 이를 비정상적 문장 구조로 판단하고, AI 작성 가능성이 높다고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학생이나 연구자는 스스로 검열을 시작하게 되고, 감지기에 덜 걸릴 수 있는 ‘안전한 문장’을 택하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