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교육 현장에서 AI 탐지기를 성적 평가에 직접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학생이 제출한 과제를 자동으로 판별해 AI가 작성한 부분을 걸러내고, 이를 성적 부여 과정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시도는 겉으로 보기에는 효율적이고 공정해 보일 수 있다. 대규모 수업에서 교사가 개별 과제를 일일이 검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AI 탐지기는 빠르고 일관된 기준을 제공해 평가자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도 존재하는데, 이는 탐지기의 결과가 절대적 기준으로 활용될 경우 발생한다. AI 탐지기는 확률적 모델에 기반하기 때문에 완벽한 판정을 보장하지 못하며, 특정 언어적 특징이나 표현 방식에 따라 오탐지와 미탐지가 발생할 수 있다. 학생이 성실하게 작성한 보고서가 잘못 판정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