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2

AI 탐지기 기반 평가에서 교수자의 판단력은 여전히 유효한가

AI 탐지기가 대학 교육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기존의 평가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과제나 논문과 같은 서면 평가에서 교수자의 판단보다 탐지기의 감지 점수가 먼저 인용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이는 교육자 본연의 역할을 흔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전에는 글의 논리 구조, 주제 적합성, 표현력 등을 교수자가 종합적으로 판단했다면, 이제는 탐지기가 제시한 'AI 가능성'이라는 수치가 평가의 출발점이 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문제는 이 감지 점수가 완전한 기준이 아니라는 점이다. 퍼플렉서티, 버스트니스 등 통계 기반 모델은 글의 구조나 어휘 패턴을 정량화할 수는 있지만, 문맥이나 의도, 창의성은 해석하지 못한다. 따라서 탐지기가 인간의 판단을 대신할 수 없으며, 오히려 ..

AI 탐지 2025.08.05

AI 탐지기 활용 교육과정, 공정성을 위한 설계 방법

AI 탐지기의 도입은 단순히 글의 출처를 감지하는 기술적 도구를 넘어서 교육 시스템의 구조적 요소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대학과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보고서, 수필, 리서치 페이퍼 등의 평가 방식에 AI 탐지기가 적극 활용되면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신뢰 구조에도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학생의 글이 단순 표절 여부를 중심으로 확인되었지만, 이제는 그 글이 ‘인간의 창작’인지 ‘AI의 자동 생성’인지까지 판별하는 도구가 중심에 놓이게 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탐지기의 점수가 절대적인 판단 기준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학생이 글을 제출하면서도 그 점수에 따른 평가 결과를 불안하게 기다리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점이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일부 교수는 점수만으로 부정행위 여부를 판단..

AI 탐지 202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