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지기는 최근 대학과 학술지, 교육 기관 등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학문적 부정행위 예방과 공정성 강화를 위한 핵심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특별히 생성형 AI 도구의 범용화로 인해 논문, 과제, 보고서 등 학문적 텍스트의 출처와 진정성을 판별하는 수단으로서 탐지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AI 탐지기의 전면적 도입은 동시에 새로운 불신의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 과거에는 글의 창작성 여부를 교수자나 심사위원이 인간적 판단으로 해석했다면, 이제는 통계 기반 알고리즘이 텍스트의 진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로 인해 학생과 교수 간, 연구자와 편집자 간의 신뢰가 기술 결과에 의해 좌우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는 정당하게 작성한 문서임에도 AI 탐지기에 의해 작성 주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