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탐지기 기술이 학문적 글쓰기 영역을 넘어서 교육 평가 분야로까지 확장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학습 평가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대학과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학생이 제출한 보고서나 과제, 논술형 평가 결과에 대해 AI 탐지기를 적용해 생성형 AI의 사용 여부를 미리 판별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기존의 표절 탐지기는 주로 기존 텍스트와의 중복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었다면, AI 탐지기는 문장의 생성 확률, 구조적 일관성, 단어의 배치 패턴 등을 바탕으로 글의 창작성과 생성 주체를 추정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처음에는 과제 대행이나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최근에는 실제 평가의 기준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교수는 탐지기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