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과 학술기관에서 사용되는 학위논문 감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표절 탐지기 기반의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Turnitin, CopyKiller, iThenticate 등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기존 논문, 출판물, 웹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분석해 중복률과 유사도 지수를 산출한다. 이 시스템은 ‘무단 인용’이나 ‘출처 누락’ 같은 전통적인 표절 행위를 식별하는 데 효과적이며, 지금까지는 논문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주요 기술로 기능해왔다. 그러나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단순히 기존 문장을 가져오지 않더라도 전혀 새로운 문장 구조와 표현으로 된 AI 생성 글이 등장하면서 기존 표절 탐지 시스템만으로는 진정한 ‘창작성 판별’이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AI 탐지기가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