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탐지기의 활용이 고등교육 기관과 학문 평가 현장에 점차 정착하면서, 교육 시스템 전반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글쓰기 중심 과제나 서술형 시험에서 AI 탐지기를 활용해 생성형 AI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일이 흔해지며, 평가의 전 과정이 기술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의 주관적 판단은 줄어들고, 감지기의 수치와 판정 결과가 성적과 징계의 근거로 기능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평가 체계는 학생의 사고력, 논리력, 글의 맥락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AI 탐지기 기반 평가는 문장의 작성 주체가 누구인지에 집중되며, 결과적으로 평가의 목적 자체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교육의 방향을 지식 전달 중심에서 ‘기계 검증 통과 중심’으로 이동시키고..